공부하는 이야기
13. 유동성장세 vs 실적장세 차이는?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라푼젤27
2021. 8. 15. 12:26
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13. 유동성장세 vs 실적장세, 차이점이 뭔가요?
유동성장세 - 돈의 힘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장세
실적장세 - 기업들의 실적을 기반으로 상승하는 장세

Photo by Nicholas Cappello on Unsplash
https://unsplash.com
+ 유동성장세
- 돈의 힘으로 주가를 올리는 장세이기 때문에 많은 업종과 기업들이 고르게 상승
-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는 유동성(자산을 현금으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 정도)의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주가상승 속도도 빨라지기 때문에 거품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장세가 대표적인 유동성 장세 - 코로나19팬데믹으로 코스피 지수가 2000 -> 1400포인트까지 급락하자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시장에 참여하기 시작, 이들의 유동성과 주식매수에 의해 코스피는 3월 저점 1439포인트 -> 12월 2700포인트까지 8개월 만에 87% 상승하는 강세장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기업의 이익도 좋지 않았고 경기는 최악의 상황을 기록하였지만 저금리와 글로벌 각구의 돈풀기로 인해 넘쳐난 시중 자금이 위험자산인 주식시장으로 유입되어 강력한 상승장 펼쳐져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2009년부터 시작된 강세장도 유동성장세로 볼 수 있다.
- 돈의 힘에 의한 유동성장세는 영원히 지속될 수 없다.
- 유동성장세 이후 시장이 상승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실적이 개선되는 흐름이 나와야 한다.
+ 실적장세
- 유동성장세 이후 실적의 힘으로 상승하는 장
- 2009년 유동성장세 이후 '차화정 장세'라고 불리운 상승장이 대표적 실적장세
- 유동성의 힘으로 금융시장이 회복되자 투자소득이 증가하면서 사람들의 소비가 늘고 이는 기업들의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
- 위기에서 살아남은 기업들은 과거보다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반으로 막대한 이익을 내며 실적주들은 이익과 주가가 동반해서 상승하는 흐름 보여
- 실적장세는 기업의 실적을 기반으로 상승하는 장세이기 때문에 시장이 아무리 좋더라도 상승하는 기업은 소수
- 소수의 주도주들만 주가가 상승하고 시가총액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주가 움직임에 따라 시장 움직임
- 실적장세가 시작되면 투자자들은 반드시 실적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에만 투자해야 한다.
- 유동성장세처럼 많은 기업들이 고르게 상승하는 자비심이 실적장세에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