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이야기
16. 기저효과 vs 역기저효과 차이는?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라푼젤27
2021. 8. 18. 23:20
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16. 기저효과 vs 역기저효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기저효과
작년 혹은 전분기 실적이 워낙 안좋아서 올해 혹은 이번 분기 실적이 조금만 개선되어도 성장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효과
역기저효과
작년에 너무 좋은 실적을 내서 상대적으로 이번에 좋은 실적을 냈음에도 성장을 못했다고 평가절하는 현상

Photo by Susan Q Yin on Unsplash
https://unsplash.com
어떤 기업이 매 분기 50억의 이익을 내다가 전분기에 20억의 이익을 냈다고 가정했을 떼 이번 분기에 다시 50억을 냈다면, 과거와 같은 수준의 이익이지만 지난 분기 대비 2배 이상의 성장을 했기 때문에 실적 개선주로 시장의 주목을 받을 수 있다. 이를 기저효과에 의한 실적 성장 이라 한다.
50억원의 이익을 내던 기업이 직전 분기에 100억의 기록을 했다가 이번 분기에 다시 50억의 이익을 기록했다면 과거와 비슷한 이익을 냈지만 투자자들은 실망할 가능성이 높다. 직전 분기보다 이익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기업의 이익은 꾸준히 증가하는 게 좋다. 갑작스러운 악재로 이익이 급감했다 다시 정상화되는 기저효과,
갑작스런 성장으로 이익이 급증했다가 다시 정상화되는 역기저효과는 일시적인 경우과 많다.
기업만의 고유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에 주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