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 IPO(기업공개) 어떤 의미인가요?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는 이야기

02. IPO(기업공개) 어떤 의미인가요?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by 라푼젤27 2021. 7. 30.

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2. IPO(기업공개) 어떤 의미인가요?


IPO(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공개
외부 투자자가 공개적으로 주식을 살 수 있도록 기업이 자사의 주식과 경영내역을 시장에 공개하는 것
비상장기업이 증권시장(코스피, 코스닥)에서 공식적으로 거래되기 위해서는 기업공개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기업공개란 한마디로 코스피 시장 혹은 코스닥 시장에 들어가기 위해 신고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IPO를 하는 이유 - 자금 조달

대부분의 기업들은 성장을 하기위해 끊임없이 투자를 해야 한다.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은행에서 돈을 빌리거나 채권을 발행한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은 유상증자를 통해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한다.
+ 유상증자 -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시장 내에서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주식을 발행하는 행위

기업에게 가장 유리한 것은 시장에서 직접 조달하는 방식으로 부채가 아니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없다.
IPO를 하게되면 대규모 자금을 손쉽게 조달할 수 있고, 이 자금으로 공장을 건설하거나 신사업 투자 혹은 은행의 빚을 갚을 수 있다. 그리고 기업의 정보가 공개되므로 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홍보효과도 얻을 수 있다.

투자자 역시 카카오나 마켓컬리처럼 고성장하는 기업에 정식 투자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좋다.

IPO 과정 알아보기

증권선물거래소에 상장 신청 → 심사 → 승인 → 주관사와 증권신고서 작성 → 수요예측(공모가 결정) → 청약 → 상장

증권선물거래소는 상장신청을 한 기업들을 심사하여 승인한다.

다음으로 주관사(IPO를 도와주는 증권사)와 증권신고서를 작서하게 되는데 이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증권신고서에는 공모방법, 공모가 결정방법, IPO를 하는 목적, 재무제표, 주주현황, 기업의 사업현황 등 중요한 정보들이 담겨있다. 이는 전자공시 사이트에서 검색가능하다.

증권신고서 작성 후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하게된다.
공모가 밴드(해당기업과 주관증권사가 희망하는 공모가격 밴드)를 참고해 기관투자가들이 원하는 수량과 가격을 제출한다. 인기기업은 수요예측에서도 경쟁이 치열하다. 카카오게임즈는 경쟁률이 무려 1478:1을 기록하였다.
수요예측이 끝나면 공모가를 결정한다. 경쟁기업과 비교분석하여 기업의 적정가치를 결정하는데 그 가격에서 보통 20-30% 정도 할인해서 공모가 밴드를 결정하고 기관들의 수요예측을 통해 적정 공모가를 결정한다.

공모가가 결정되면 시가총액이 결정되고 공모주 청약이 시작된다. 공모주 청약은 이틀간 진행되며 주관 증권사의 계좌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청약이 끝나고 일정시간 후에 정식으로 주식사장에 상장된다. 이제 투자자들은 본인이 원할 때 이 기업에 언제든지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카카오뱅크 청약을 한번 도전해 보았다고 책의 내용이 좀 더 쉽게 다가온다. 한번 도전해보는 건 어떨까? 앞으로도 카카오페이, 크래프톤 등 상장을 앞둔 기업이 많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