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5. ETF란 무엇이고 어떤 장점이 있나요?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펀드를 주식처럼 시장에서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상품
투자자들이 언제든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를 할 수 있고 개별 주식을 고르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장점이 매우 많은 상품
간접적인 분산투자를 가능하게 해준다.
펀드와 ETF 차이 살펴보기
펀드 | ETF |
+ 운용보수 1% 넘음 + 중도에 환매를 하면 수수료 부과 + 환매 후 현금확보까지 1주일 정도 시간 필요 |
+ 운용보수 0.2% 수준 + 매도 후 이틀 후에 현금 확보가 가능 + 매도시 거래세 없음 -> 종류에 따라 세금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 |
ETF 투자 시 발생하는 세금과 관련하여 주의사항 확인 필수
+ 국내 주식형 ETF는 매매차익 발생 시 비과세로 세금내지 않음
+ 그외 ETF(채권ETF, 해외지수ETF, 파생형ETF 등) 는 매매차익이 배당소득세(15.4% 원천징수)로 과세
+ 국내 주식형 ETF는 비과세이지만 매매차익 발생 시 다음년도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포함되니 주의
> 금융소득종합과세 :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합산해 과세하는 제도
ETF는 주식처럼 종류가 다양
+ 지수형, 업종형, 해외지수형, 채권형 등 다양한 상품
+ 글로벌 시장에서 거래되는 거의 모든 상품들을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이 큰 매력
+ ETF는 증권사가 아니라 자산운용사가 만든 상품, 종목명 앞에 붙는 단어는 운용사를 의미(KODEX, TIGER 등)
+ 레버리지 - 지수 추종, 1% 상승시 레버리지 ETF는 2% 상승
+ 인버스 - 지수를 역방향으로 추종, 1% 상승시 인버스 ETF는 -1%, 지수 1% 하락시 인버스 ETF는 1% 상승
> 해지 :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거나 앞으로 보유하려는 자신의 가격이 변함에 따라 발생하는 위험을 없애려는 시도
코스피 지수가 장기적으로 꾸준히 상승한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라면 종목에 투자하는 것보다 코스피 200을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리
적립식으로 지수형 ETF에 장기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
'공부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벨류체인(가치사슬) 이란?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 | 2021.08.08 |
---|---|
06. OEM과 ODM 이란?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 | 2021.08.05 |
04. 우선주와 보통주?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 | 2021.08.01 |
03. 주도주란?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 | 2021.07.31 |
02. IPO(기업공개) 어떤 의미인가요?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 | 2021.07.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