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17. 선물(Futures)이 너무 어렵던데 어떤 거래인가요?
선물(Futures)거래
선물은 어떤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의 어느 시점에 매수, 매도 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
기초자산을 기준으로 3개월, 6개월, 9개월 후의 가격을 예측해서 거래가 이루어짐
배추를 재배하는 농부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배추는 그 해의 날씨 상황에 따라 풍작이 될 수도 흉작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배추가격이 배추를 수확하는 시점에 어떻게 변할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일정한 가격에 판매하길 원한다.
현재 배추 포기당 가격이 3000원이라고 가정하고, 3개월 후의 배추가격은 어떻게 될까?
여기서 선물거래가 발생하게 된다.
농산물 구매자가 나타나 농부와 접촉해 3개월 후 배추를 5000원에 구매하겠다고 제안한다. 현재가격이 3000원이므로 제안에 응한다. 3개월 후 배추의 시중가격이 얼마가 되었든 두 사람은 거래를 해야한다.
현재의 기초자산을 가지고 일정시점 후에 약속한 가격에 매수, 매도를 하겠다는 약속 이것이 선물거래이다.
농산물 구매자는 선물을 매수하는 매수자, 농부는 선물을 매도하는 매도자
시중가격이 7000원이 된다면 구매가가 이익, 시중가격에 2000원이 된다면 농부 즉 매도자가 이익
Photo by PHÚC LONG on Unsplash
https://unsplash.com
선물 거래는 보통 이렇게 미래가격 예측이 어려운 상품에서 많이 활용된다.
주식시장에서도 기초자산 코스피200 으로 선물거래가 가능하다.
지수가 상승할 것으로 생각하면 선물지수를 매수하면되고, 하락할 것으로 에상하면 매도하면 된다.
에상이 틀렸을 경우에는 큰 손실을 볼 수 있으니 투자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선물은 영원히 보유할 수 없다. 코스피 200 선물은 3개월에 한번씩 만기가 돌아온다.
'공부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전자공시는 꼭 봐야하나요?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 | 2021.08.21 |
---|---|
18. 옵션(Options) 이란?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 | 2021.08.20 |
16. 기저효과 vs 역기저효과 차이는?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 | 2021.08.18 |
15. 스몰캡(중소형주) 이란?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 | 2021.08.17 |
14. 베어마켓 vs 불마켓 구분은?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0) | 2021.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