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 유상증자란?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는 이야기

22. 유상증자란?_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by 라푼젤27 2021. 8. 27.

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 질문 TOP 77
22. 유상증자는 주가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 증자의 2가지 방식 - 돈을 받고 주식을 주는 유상증자와 돈을 받지 않고 무상으로 주식을 나눠주는 무상증자

Photo by M. B. M. on Unsplash


+ 유상증자
- 주식시장에서 바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부채가 증가하지 않고 자본만 증가
-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때 많이 활용
- 시장이 활황일 때는 주가도 많이 상승해 있고, 주식투자자들의 투자심리도 좋아 유상증자가 흥행하는 경우가 많음

+ 유상증자 공시가 났을 때 확인해야 하는 부분

1. 유상증자로 증가하는 주식 수 - 전체 주식수 대비 몇 %가 발행되는지 확인
보통 유상증자는 발행 주식수의 30% 이상인 경우가 많다. 주식이 추가로 발행되기 때문에 주당가치는 당연히 하락

2. 자금조달의 목적 확인 - 유상증자를 하는 이유를 알아야 한다.
- 시설자금 : 설비투자를 위한 자금, 성장을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에서는 장기적으로는 호재로 인식
- 영업양수 자금 : M&A를 위한 자금
- 운영자금 : 기업이 사업을 운용하는데 들어가는 자금, 단기와 중기 모두 주가에 악재로 작용
- 채무상환자금 : 빚을 갚는 데 필요한 자금,
당장 현금이 없어 유상증자를 하는 것이기에 단기와 중기 모두 주가에 악재로 작용

3. 증자방식 - 주주배정, 3자배정, 일반공모
- 주주배정 : 기존의 주주들만을 대상으로 해서 증자를 하는 경우 - 주주들만 돈을 지급하고 증자에 참여 가능
- 3자배정 : 주주가 아닌 특수관계인이나 다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식
- 일반공모 : 제한없이 모든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방식
기존주주에게 부여되는 혜택이 없어 주가에 큰 악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4. 신주 발행가액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받게 되는 주식의 가격으로 현재 주가보다 보통 30% 이상 할인
발행가액이 낮아야 증자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나중에 신주를 받았을 때 수익을 낼 수 있고,
그래야 투자자들이 유상증자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

5. 신주배정 기준일 - 신주를 배정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날짜,
주식을 매도하면 이틀 후 결제되기 때문에 기준일 이틀 전이 실제 주식을 배정받을 수 있는 날짜
(10월 16일이 기준일이면 이틀 전인 10월 14일까지(영업일 기준) 주식을 보유해야 유상증자 참여할 권리 획득)

6. 청약 예정일 -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청약신청을 하는 날
납입일 - 청약신청 후에 돈을 입금해야 하는 날, 신주상장예정일 - 유상증자 투자자들에게 신주가 지급되는 날

유상증자는 증자를 하는 이유, 가격, 대상 등에 따라 악재로 작용하기도 하고 호재로 작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반드시 공시내용을 확인해야 한다.

댓글